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한민국약전19

정성반응에 대해 알아보자 정성반응에 대해 알아보자정성반응 시험의 정의(feat. 대한민국약전)정성반응 시험은 특정 화학 물질이나 이온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방법으로, 물질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특정 물질의 검출을 확인하는 데 활용되며, 물질의 양적 분석보 다질 적 분석에 중점을 둡니다.정성반응 시험의 원리1. 특정 반응물질의 특정 조건에서 고유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변화를 확인합니다.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1) 색 변화2) 침전 형성3) 기체 발생4) 냄새 확인2. 시약의 사용특정 물질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시약을 사용합니다. 시약은 물질과 반응하여 확인 가능한 시험결과를 나타냅니다.3. 표준 비교알려진 표준물질과의 반응 결과를 비교하여 미지의 물질을 확인합니다.정성반응 시험의 장점1. 빠르고 .. 2024. 11. 26.
약전 일반시험법 돌아보기 약전 일반시험법 돌아보기오늘부터 티스토리에서 21일 동안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가 시작됩니다.어떤 것으로 도전해 볼까 고민하다 대한민국약전 일반시험법이 생각났는데요.약전에 총 87가지의 일반시험법이 존재합니다.이렇게나 많은지는 새삼 몰랐는데요.위의 87가지 일반시험법들 중1. 실험실에서 많이 사용되고,2. 실제로 경험해 봤거나3. 알아보고 싶은 시험법을하루하루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적어보겠습니다.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오늘 블로그 완료! 21일 동안 매일 블로그에 글 쓰고 글력을 키워보세요.www.tistory.com 2024. 11. 7.
칼피셔법과 수분 측정 3가지 방법 칼피셔법과 수분 측정 3가지 방법칼피셔법과 실험실에서 수분 측정 시 사용하는 3가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칼 피셔법(Karl-Fischer method) 칼 피셔법(Karl Fischer Titration)은 시료 내의 수분(물)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화학적 분석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매우 정밀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특히 제약, 화학, 식품, 석유 등의 산업에서 수분 측정에 많이 사용됩니다. KF 또는 칼피셔 적정법은 샘플에서 미량의 물을 결정하기 위한 고전적인 적정 기술 중 하나로 1935년 독일 화학자 칼 피셔에 의해 처음 발명되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요오드시약을 독일 화학자 이름을 따서 칼 피셔(Karl-Fischer) 시약이라 합니다. 보통 이 방법은 자동화된 칼 피셔 적정기를 .. 2024. 10. 10.
대한민국약전 차례 살펴보기 대한민국약전 차례 살펴보기 제약회사 실험실에서는 대한민국약전을 자주 보실 텐데요. 대한민국약전의 차례를 살펴보며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약전은 크게 총 4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권은 통칙, 제제총칙, 일반시험법, 일반정보 2권은 의약품 각조 1부 (ㄱ~ㅅ) 3권은 의약품 각조 1부 (ㅇ~ㅎ) 4권은 의약품 각조 2부 통칙에서는 약전에 기재되어 있는 전반적인 규칙, 정의, 적부(적합 혹은 부적합)의 판정법, 시험에 쓰이는 용어에 대한 해석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제제총칙에서는 약들의 각각 제형(ex. 정제, 주사제 등)의 정의와 제법 및 기준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의약품 각조 1부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의약품 또는 원료의약품과 같은 기초 제제들의 간단한 정의와 성상, 기준 및 시.. 2024. 10. 8.
비중(밀도) 측정 4가지 방법 비중(밀도) 측정 4가지 방법비중(밀도) 측정 4가지 방법이전 글에서 비중, 밀도의 원리와 차이를 알아봤는데요. [정보] 밀도, 비중의 정의 및 차이개요밀도와 비중은 비슷하면서 차이가 있다. 정확한 정의를 알고 차이점을 알아보자. 밀도의 정의밀도는 단위 부피 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질량/부피)이다. 단위는 g/cm3(mL) 혹은 kg/m3(L)로 나타낸method-of-analysis.tistory.com이번에는 대한민국약전(이하 약전)에 수록된 비중 및 밀도측정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약전에서는 총 4가지 기구(기기)를 이용한 측정법을 다룹니다.1. 비중병2. 쉬프렝겔.오스트발트 피크노메타3. 부칭계4. 진동식 밀도계제1 법 비중병(Specific gravity bottle, Pycnometer)비중.. 2024. 9. 6.
밀도, 비중의 정의 및 차이 밀도, 비중의 정의 및 차이밀도, 비중의 정의 및 차이개요 밀도와 비중은 비슷하면서 차이가 있다. 정확한 정의를 알고 차이점을 알아보자.밀도의 정의 밀도는 단위 부피 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질량/부피)이다. 단위는 g/cm3(mL) 혹은 kg/m3(L)로 나타낸다. 한마디로 일정한 공간안에 얼마나 조밀한지(빽빽한지) 수치화 하는 것이다.밀도의 변화 밀도는 압력이나 온도에 따라 바뀐다. 압력이 증가하면 물질의 밀도가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증가하면 밀도가 낮아지지만, 예외가 있는데 바로 물(Water, H2O)이다. 물의 밀도는 녹는점 0 °C에서 4 °C 사이에서 증가하는데 이는 물 분자의 수소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특수한 경우다. 상태에 따른 밀도 비교 고체는 분자들이 매우 빽빽하게 모여 있는 .. 2024. 8. 28.
대한민국약전 일부개정고시(제2023-75호) 대한민국약전 일부개정고시(제2023-75호) 개요대한민국약전이 2023년 12월 13일 일부개정되었고 2024년 3월 14일 시행되었습니다. 개정 이유「대한민국약전」의 약전토론그룹 회원국 가입을 위한 국제 공통규격으로 신설함으로써 기준·규격을 선진화 및 국제조화하여 국내업계의 수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 주요내용 가. 기준·규격 미흡한 의약품 각조 381 품목 삭제(별표 3)나. 첨가제 등 83품목 약전토론그룹 조화 합의 사항 반영(별표 3, 4, 5) 달행남 의견 1. 기준 규격 미흡한 의약품 각조 381 품목 삭제-> 근거가 불분명한 의약품 각조 내용을 삭제하여 정리하였음.대한민국약전의 시작이 JP 기반인데 대한민국약전 9인가 10에서 약전외의약품 기준도 함께 합하다보니 각조 내용에 의약품 외의 화.. 2024. 6. 29.
대한민국약전, 세계 3대 약전 발매일 및 시행일 안녕하세요 카일의 분석법 저장소입니다.예전에 작성했던 '대한민국약전 및 세계 3대약전' 글을 업데이트하면서 약전별로 현재 버젼과 발매일, 시행일을 정리해봤습니다. [시험규격] 대한민국약전과 세계 3대 약전(USP, Ph.Eur, JP)대한민국약전(KP : Korean Pharmacopeia) 우리나라 식품의약품 안전처(MFDS)에서 고시하며 최신 버전은 제12 개정이고 5년마다 정기 개정한다. 2013년 3월 전까지(9 개정)까지는 대한약전으로 불리다가 10method-of-analysis.tistory.com 약전 분류Version발매일시행일비고대한민국약전(KP)12개정2023.01.12(식약처고시2023-2호)2023.04.13현재버전미국약전(USP/NF)2023 Issue 12022.11.01202.. 2023. 6. 21.
[대한민국약전] 대한민국약전 일부개정고시(제2023-2호) 안녕하세요 카일의 분석법 저장소입니다.대한민국약전 일부내용이 [2023-2호] 개정고시되었으며 상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대한민국약전 12개정대한민국약전 일부개정고시1. 개정이유「대한민국약전」기준·규격을 국제조화하여 의약품의 적정한 품질관리를 합리적으로 지원하고, ‘감초’의 기원종에 기존종과의 규격 부합성 및 국내 재배가능성 등이 검증된 종을 추가하여 개정함으로써, ‘감초’의 국산화 기반을 마련함. 또한,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제약업계의 수요사항 등을 반영한 일부 일반정보를 최신 과학수준에 맞게 개선하여 기준·규격을 선진화하고 우수한 품질의 의약품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함2. 주요내용가. 「감초」품목의 기원에 검증된 종 추가 및 추가된 종에 대한 성상 반영(안 별표 4)나. 일반정보에 유세포 분석법,.. 2023. 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