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험규격14

중국국가표준(GB, GB/T)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국가표준(GB,GB/T)에 대해 알아보자 예전에 해외 식품법령에 대한 글을 작성했었는데요. 해외 식품 법령 찾기해외 식품 법령 찾기 해외 식품법령 찾기개요 최근 중국산 원료들을 자주 검토한다. 워낙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기 때문인데, 관련 서류를 검토하다 보니 시험법에 GB라는 내용이 나왔다.검색으method-of-analysis.tistory.com 당시에 찾았던 GB는 엄연히 따지면 식품에 국한되지 않는, 중국 전방위적인 국가표준임을 확인했는데요. 중국국가표준(GB)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중국국가표준(GB)이란? GB는 중국 국가표준 즉, 國家標準(Guoji biozhn)’의 중국어 병음 앞글자를 차용한 것으로 강제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의무규정을 의미합니다. 산업, 품질 관리, 안전 및 .. 2024. 10. 31.
대한민국약전 차례 살펴보기 대한민국약전 차례 살펴보기 제약회사 실험실에서는 대한민국약전을 자주 보실 텐데요. 대한민국약전의 차례를 살펴보며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약전은 크게 총 4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권은 통칙, 제제총칙, 일반시험법, 일반정보 2권은 의약품 각조 1부 (ㄱ~ㅅ) 3권은 의약품 각조 1부 (ㅇ~ㅎ) 4권은 의약품 각조 2부 통칙에서는 약전에 기재되어 있는 전반적인 규칙, 정의, 적부(적합 혹은 부적합)의 판정법, 시험에 쓰이는 용어에 대한 해석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제제총칙에서는 약들의 각각 제형(ex. 정제, 주사제 등)의 정의와 제법 및 기준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의약품 각조 1부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의약품 또는 원료의약품과 같은 기초 제제들의 간단한 정의와 성상, 기준 및 시.. 2024. 10. 8.
미국약전, 유럽약전의 장단점 미국약전, 유럽약전의 장단점 최근 미국약전과 유럽약전을 재구매하면서 개인적으로 느낀 각 약전의 장단점을 적어봅니다. 미국약전(USP)장점 1. 최근 가격을 인상했지만 (1300달러 -> 1500달러, 20 명 접속 기준) 유럽약전에 비해 금액이 합리적이다. 2. 온라인 접속 시 변경 전후 버전을 비교하여 보기에 편하다. 단점 1. 온라인 서버 접속불가시 확인방법이 없다.(실제로 한국시간으로 근무 중인 오전시간에 점검 중인 경우가 많음) 2. 예전 버전을 볼 수는 있지만 특정 시점이전은 확인 불가하다. 3. 인쇄할 때 시간, 인쇄자 등의 정보가 모두 다 인쇄되어서 data integrity 개념으로 접근하면 불편할 때가 있다. (굳이 약전 인쇄할 때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다) 유럽약전(Ph.Eur) 장점.. 2024. 10. 2.
한국공업규격(KS) 검색과 활용법 한국공업규격이란?한국산업규격이라고도 불렸으며, 현재 공식명칭은 한국산업표준이다.한국산업표준(韓國産業標準, 영어: Korean Industrial Standards, 약칭: KS)은 대한민국의 산업 전 분야의 제품 및 시험, 제작 방법 등에 대하여 규정하는 국가 표준이다. 2011년 12월 기준으로 기본, 기계, 전기 등 21개 부문, 2만 3천여 종, 20만여 쪽에 이르며, 내용은 생산 현장, 건설 현장 및 시험, 연구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산업표준화법에 따라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기술표준원장이 고시한다. 기호로는 ㉿로 나타낸다.실험실에서의 한국공업규격위의 내용과 같이 공업규격은 산업전반에 걸쳐 활용되는데, 실험에 사용하는 시약이나 용매들(화학물질)에 대하여 한국공업규격(한국.. 2024. 7. 19.
대한민국약전, 세계 3대 약전 발매일 및 시행일 안녕하세요 카일의 분석법 저장소입니다.예전에 작성했던 '대한민국약전 및 세계 3대약전' 글을 업데이트하면서 약전별로 현재 버젼과 발매일, 시행일을 정리해봤습니다. [시험규격] 대한민국약전과 세계 3대 약전(USP, Ph.Eur, JP)대한민국약전(KP : Korean Pharmacopeia) 우리나라 식품의약품 안전처(MFDS)에서 고시하며 최신 버전은 제12 개정이고 5년마다 정기 개정한다. 2013년 3월 전까지(9 개정)까지는 대한약전으로 불리다가 10method-of-analysis.tistory.com 약전 분류Version발매일시행일비고대한민국약전(KP)12개정2023.01.12(식약처고시2023-2호)2023.04.13현재버전미국약전(USP/NF)2023 Issue 12022.11.01202.. 2023. 6. 21.
식품 분야 공전 온라인 서비스 식품 분야 공전 온라인 서비스 최근에 식품공전, 식품첨가물공전을 검색하다 찾게 된 식품 분야 공전 온라인 서비스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해당되는 공전은 아래와 같이 총 4가지 식품과 관련된 공전입니다. 1. 식품공전 2. 식품첨가물공전 3. 건강기능식품공전 4.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해당되는 공전을 클릭 시 우측에는 주요 개정사항 일람표, 좌측에 주요 본문 목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좌측에 확인해 보시면 최신 버전은 아니지만, 영문판도 다운로드할 수 있네요! 일람표를 클릭하면 개정 주요사항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고요. 공전을 선택하여 검색어로 검색하면 본문 내용까지 온라인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네요. 비타민으로 검색한 예시 식품 공전 분야는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온라인으로 편.. 2023. 6. 11.
[시험규격]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 (식첨) 검색과 다운로드 안녕하세요 카일의 분석법 저장소입니다.오늘은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또는 식첨)에 대해 알아보고 최근 개정고시를 확인, 다운로드 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식첨)이란?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식첨)은 식품위생법 제 7조 1항 에 따라 식품첨가물에 관한 등의 제조, 가공, 사용, 조리, 보존 방법에 관한 기준과 성분에 관한 규격을 싣고 있습니다.식품위생법 제 7조 1항①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국민보건을 위하여 필요하면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하여 고시한다. 1. 제조ㆍ가공ㆍ사용ㆍ조리ㆍ보존 방법에 관한 기준2. 성분에 관한 규격 식품첨가물의 기준 및 규격의 목적은 식품첨가물의 안전한 품질을 확보하고, 식품에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2021. 11. 18.
[시험규격]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식품공전) 검색과 다운로드 안녕하세요 카일의 분석법 저장소입니다.오늘은 식품의 기준 및 규격(또는 식품공전이라고도 함)에 대해 알아보고 최근 개정고시를 확인, 다운로드 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이란?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은 식품위생법 제 7조 1항 및 축산물 위생관리법 제 4조 2항에 따라 식품 등의 제조, 가공, 사용, 조리, 보존 방법에 관한 기준과 성분에 관한 규격을 싣고 있습니다.식품위생법 제 7조 1항①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국민보건을 위하여 필요하면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에 관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하여 고시한다. 1. 제조ㆍ가공ㆍ사용ㆍ조리ㆍ보존 방법에 관한 기준2. 성분에 관한 규격축산물 위생관리법 제 4조 2항②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공중위생상 필요한 경.. 2021. 11. 17.
[한국표준정보망] 표준 업데이트 알림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카일의 분석법 저장소입니다.한국산업표준(KS), 해외표준, 핸드북, 도서 등을 인터넷으로 구매할 수 있는 한국표준정보망(www.kssn.net)에 대하여 이전 글에서 알려드렸었는데요. (하단 함께보면 좋은 글 참조)한국표준정보망을 사용하는 데 있어 유용한 기능 중표준 업데이트 알림 설정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KSSN.NET에 접속한 뒤 사이트에 로그인 한 뒤 표준 업데이트 알림을 원하는 표준을 사이트에서 검색한다. (회원가입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회원가입 하기) 2. 알림 하고자 하는 표준을 찾은 뒤에 표준 제목 옆에 ☆모양을 클릭하기 클릭하면 아래 화면 처럼 관심표준 추가 완료라는 메세지 창이 뜨며, OK를 클릭한다. 3.  사이트 상단의 마이페이지를 클릭한다. 4. 마이페이지.. 2021. 1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