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 공부9

중량(weight) 2가지 표기 알아보기 중량(weight) 2가지 표기 알아보기 상품이나 물건의 중량(무게)을 표기하는 것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바로 총중량(Gross weight)과 순중량(Net weight)인데요. 주로 무역(물류)에서 사용되지만, 일상에서도 볼 수 있는 두 가지 중량 표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총중량(Gross weight): 물건의 중량과 포장용기 등 기타 운반용 중량을 모두 합한 무게를 말합니다. 2. 순중량(Net weight): 포장용기의 중량을 제외한 순수한 물건의 무게를 말합니다. 사용 중인 치약인데요. 우측 하단에 NET WT 120g이라 표기되어 있습니다. 치약 용기 내에 들어있는 치약 중량이 120g인 거죠. 어느 제품의 겉 용기 표기인데요. NET WEIGHT : 500KG GROSS WE.. 2024. 10. 30.
비누가 세기의 발명품이라고? 세기의 발명품 ‘비누’를 알아보자 비누의 어원 현대 국어 ‘비누’의 어원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오는 ‘비노’에서 시작됩니다. 이 단어의 ‘노’가 ‘누’로 바뀌어 현재의 ‘비누’가 되었는데 ‘비노가 적힌 가장 오래된 형태의 문헌은 순천 김 씨 묘 출토 간찰(16세기)입니다. ‘비노’의 단위를 되로 센 것으로 보아 팥이나 녹두로 만든 가루비누인 조두(澡豆)를 부르는 말로 쓰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누의 원리 비누는 때를 씻어 낼 때 쓰는데 물에 녹아 거품이 생기며 보통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주성분으로 합니다. 비누의 분자는 계면활성제로 한 분자 내에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또는 소수성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이때, 친수성 부분은 분자의 외곽, 즉 바깥쪽에 위치해 있고, 친유성 .. 2024. 10. 22.
콜로이드 분류와 특성 콜로이드 분류와 특성 콜로이드란? 콜로이드(colloid)는 매우 작은 입자(1 nm ~ 1 µm)의 용질이 다른 용매 속에 고르게 분산되어 떠다니는 혼합물을 말합니다. 콜로이드 입자는 너무 작아서 육안으로 보이지 않지만,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용액과 달리 콜로이드는 입자가 크기 때문에 침전되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분산 상태를 유지합니다. 입자가 충분히 작아 콜로이드의 어느 부분을 취해도 같은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며 입자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콜로이드의 대표적인 예시로 우유를 들 수 있습니다. 콜로이드는 크게 두 가지 물질로 구성됩니다. 분산매 :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물질. (예: 물) 분산질 : 분산되어 있는 작은 입자. (예: 고체.. 2024. 10. 20.
지방산(Fatty acid)의 모든 것 지방산(Fatty acid)의 모든 것 지방산의 정의지방산(fatty acid)은 중성지방이나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을 구성하는 분자로서 탄소 원자가 사슬 모양으로 연결된 카르복시산(R-COOH)을 통틀어 말한다. 지방을 가수분해하면서 생기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대부분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지방산은 4~28개까지의 짝수의 탄소 분자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지방산은 아세트산(CH3-COOH)이다. 지방산의 분류 지방산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이다. 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탄소를 기준으로 수소로 포화되어 모두 단일결합으로 이루어져있는 지방산을 포화 지방산이라 한다. 보통 유동성이 떨어지며 상온에서 고체의 형태를 나타낸다. 불포화.. 2024. 10. 17.
증류 2가지 비교(정제 증류, 분별 증류) 증류 2가지 비교(정제 증류, 분별 증류) 정제 증류와 분별 증류는 혼합물에서 다양한 물질을 분리하는 데 유용한 산업 공정으로 정유, 화학산업에서 활용됩니다. 정유시설을 예로 정제 증류, 분별 증류의 개념을 알아보고 비교해 보겠습니다. 정제 증류(Refining distillation) 정제 증류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도를 높이는 증류법으로 원유를 제품으로 전환합니다. 일반적으로 석유 정유소에서 원유를 LPG(액화석유가스), 가솔린 또는 휘발유, 디젤, 등유와 같은 제품으로 전환하는 데 정제 증류를 사용합니다. 석유 정유소는 단위와 저장 탱크를 포함하여 여러 처리 단계 및 보조 시설을 포함하는 대규모 산업 시설입니다. 정유소 각각은 고유의 처리시설과 다양한 정유 공정의 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유 증류.. 2024. 10. 16.
칼피셔법과 수분 측정 3가지 방법 칼피셔법과 수분 측정 3가지 방법칼피셔법과 실험실에서 수분 측정 시 사용하는 3가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칼 피셔법(Karl-Fischer method) 칼 피셔법(Karl Fischer Titration)은 시료 내의 수분(물)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화학적 분석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매우 정밀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특히 제약, 화학, 식품, 석유 등의 산업에서 수분 측정에 많이 사용됩니다. KF 또는 칼피셔 적정법은 샘플에서 미량의 물을 결정하기 위한 고전적인 적정 기술 중 하나로 1935년 독일 화학자 칼 피셔에 의해 처음 발명되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요오드시약을 독일 화학자 이름을 따서 칼 피셔(Karl-Fischer) 시약이라 합니다. 보통 이 방법은 자동화된 칼 피셔 적정기를 .. 2024. 10. 10.
비중(밀도) 측정 4가지 방법 비중(밀도) 측정 4가지 방법비중(밀도) 측정 4가지 방법이전 글에서 비중, 밀도의 원리와 차이를 알아봤는데요. [정보] 밀도, 비중의 정의 및 차이개요밀도와 비중은 비슷하면서 차이가 있다. 정확한 정의를 알고 차이점을 알아보자. 밀도의 정의밀도는 단위 부피 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질량/부피)이다. 단위는 g/cm3(mL) 혹은 kg/m3(L)로 나타낸method-of-analysis.tistory.com이번에는 대한민국약전(이하 약전)에 수록된 비중 및 밀도측정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약전에서는 총 4가지 기구(기기)를 이용한 측정법을 다룹니다.1. 비중병2. 쉬프렝겔.오스트발트 피크노메타3. 부칭계4. 진동식 밀도계제1 법 비중병(Specific gravity bottle, Pycnometer)비중.. 2024. 9. 6.
해외 식품 법령 찾기 해외 식품 법령 찾기 해외 식품법령 찾기개요 최근 중국산 원료들을 자주 검토한다. 워낙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기 때문인데, 관련 서류를 검토하다 보니 시험법에 GB라는 내용이 나왔다.검색으로 찾아보니 중국의 식품 규격인 것을 확인했다. 또한, 중국 외의 다른 외국들에 대한 식품 법령과 기준 규격을 모아놓은 국내 사이트를 찾게 되었다.글로벌 식품법령 및 기준규격정보시스템 식품안전정보원에서 관리하는 글로벌식품법령, 기준규격정보시스템이다.중국, 캐나다, 베트남, 미국, 일본, 유럽연합 등 해외 여러 나라들의 식품법령과 기준 규격을 검색을 통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되어있다.중국 쪽 일부 데이터만 찾아봤는데 읽기 편하게 번역되어 있어서 확인하기에 수월했다.해외 식품법령 및 기준규격을 찾아보려면 아래 사이트를 이용.. 2024. 7. 11.
총 질소 계산하기 (x 14.01)feat, 단백질 계수 총 질소 계산 총 질소 계산 1. 총 질소 계산 대한민국약전(유럽약전, 미국약전 포함)및 식품 시험법에서 질소를 정량할 때 14.01을 곱한다. 여기서 14.01은 어떤 계수일까? 답은 식품공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14.01은 질소의 원자량임을 알 수 있다. 약전이나 기타 시험법에는 0.01401이나 1.401로 나와있는데 이는 전처리 과정에서의 희석(Dilute)으로 인해 계수의 영점 자리가 바뀐 것이다. 2. (조) 단백질 계수 질소를 정량하여 단백질(Protein) 계산이 필요할 때가 있는데 이 때는 단백질 계수를 곱해야 한다. 식품공전에서 나오는 곡류별 조단백질(Crude Protein) 계수를 공유한다. 질소량을 구한 뒤 (조) 단백질을 산출하는 질소 계수를 곱하면, (조) 단백질 량을 구할 .. 2024. 6.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