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약전5 정성반응에 대해 알아보자 정성반응에 대해 알아보자정성반응 시험의 정의(feat. 대한민국약전)정성반응 시험은 특정 화학 물질이나 이온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방법으로, 물질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특정 물질의 검출을 확인하는 데 활용되며, 물질의 양적 분석보 다질 적 분석에 중점을 둡니다.정성반응 시험의 원리1. 특정 반응물질의 특정 조건에서 고유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변화를 확인합니다.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1) 색 변화2) 침전 형성3) 기체 발생4) 냄새 확인2. 시약의 사용특정 물질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시약을 사용합니다. 시약은 물질과 반응하여 확인 가능한 시험결과를 나타냅니다.3. 표준 비교알려진 표준물질과의 반응 결과를 비교하여 미지의 물질을 확인합니다.정성반응 시험의 장점1. 빠르고 .. 2024. 11. 26. 결정성 시험법을 알아보자(Crystallinity) 결정성 시험법을 알아보자(Crystallinity) 결정성 시험법의 정의와 활용, 다양한 시험방법과 기기까지 알아봅시다. 결정성 시험법에 대하여 대한민국약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간단히 서술하고 있습니다. 약전에서는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결정성을 확인하는데요. 검체가 결정성이 있다면 복굴절과 소광현상을 나타냅니다. 복굴절은 물질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과 진행 방향에 따라 굴절률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하며, 소광현상은 편광현미경의 교차편광하에 검체가 검게 보이는 현상을 뜻합니다. 결정성 시험방법은 주로 물질의 구조와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실시하는 결정 구조 분석 시험입니다. 물질이 결정(결정체)인지, 또는 비결정(비결정질)인지 확인하고, 결정이라면 그 결정 구조가 어떤 형태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정성.. 2024. 11. 11. 약전 일반시험법 돌아보기 약전 일반시험법 돌아보기오늘부터 티스토리에서 21일 동안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가 시작됩니다.어떤 것으로 도전해 볼까 고민하다 대한민국약전 일반시험법이 생각났는데요.약전에 총 87가지의 일반시험법이 존재합니다.이렇게나 많은지는 새삼 몰랐는데요.위의 87가지 일반시험법들 중1. 실험실에서 많이 사용되고,2. 실제로 경험해 봤거나3. 알아보고 싶은 시험법을하루하루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적어보겠습니다.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오늘 블로그 완료! 21일 동안 매일 블로그에 글 쓰고 글력을 키워보세요.www.tistory.com 2024. 11. 7. 대한민국약전 차례 살펴보기 대한민국약전 차례 살펴보기 제약회사 실험실에서는 대한민국약전을 자주 보실 텐데요. 대한민국약전의 차례를 살펴보며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약전은 크게 총 4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권은 통칙, 제제총칙, 일반시험법, 일반정보 2권은 의약품 각조 1부 (ㄱ~ㅅ) 3권은 의약품 각조 1부 (ㅇ~ㅎ) 4권은 의약품 각조 2부 통칙에서는 약전에 기재되어 있는 전반적인 규칙, 정의, 적부(적합 혹은 부적합)의 판정법, 시험에 쓰이는 용어에 대한 해석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제제총칙에서는 약들의 각각 제형(ex. 정제, 주사제 등)의 정의와 제법 및 기준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의약품 각조 1부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의약품 또는 원료의약품과 같은 기초 제제들의 간단한 정의와 성상, 기준 및 시.. 2024. 10. 8. 해외약전 PDF 다운로드 주소 해외약전 PDF 다운로드 주소 예전에 해외약전 검색 가능한 인터넷 주소를 올렸었는데요. 또다른 유용한 사이트를 찾게되어 공유 드립니다. 인터넷 주소는 https://www.drugfuture.com/standard/ 인데요 기본적으로 중국어로 제공되는 사이트지만 크롬 번역기로 돌리면 대략 어떤 글인지 알수 있죠. 예시로 건조감량(loss on drying)을 검색해봤습니다. 예전에 공유드린 인터넷 사이트에 비해 최근 버전들의 약전이 검색됩니다. 시험법 내용을 텍스트로 제공하는 게 아니라 우측의 PDF 다운로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혹시 몰라서 유럽약전 10.0 의 loss on drying 을 pdf로 다운로드 받아 확인하였는데 버젼과 시험법이 일치하네요.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카일의 분석법 저.. 2023. 9.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