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7

[미국약전]USP <211> CHLORIDE AND SULFATE[염화물과 황산염-번역] 다음의 한도 시험은 염화물과 황산염에 대한 한도(Limit test)가 개별 Monograph에 명시되어 있을 때 일반적으로 시험하는 절차입니다.동일한 직경의 유리 실린더에서 시험 및 컨트롤을 수행하고 가능한 한 밀접하게 일치하도록 합니다.( USP 〈630〉Visual comparison 참조)시험용액과 규정량의 염화물 또는 황산염을 함유하는 대조용액 모두에 동일한 양의 동일시약을 사용합니다. 산성화 후 용액이 완전히 맑지 않으면 염화물 및 황산염에 대해 음성 테스트를 제공하는 여과지에 통과시킵니다. 필요에 따라 침전제인 질산은시액 또는 염화바륨시액을 시험용액과 대조용액에 즉시 가합니다.각 각조에서 특정 부피의 물질 용액에 해당시험을 적용할 것을 필요로 하고 염화물 또는 황산염의 한계가 각각 0.020.. 2021. 10. 14.
[미국약전]USP <1058> AnaIytical instrument qualification[분석기기 적격성평가 - 번역] Introduction(소개)제약 산업에서는 단순한 장치에서 복잡한 컴퓨터 시스템에 이르는 다양한 분석 기기를 사용하여 제품이 사양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수집합니다. 이러한 기기의 대부분은 도량형 기능과 소프트웨어 제어를 결합합니다. 기기가 적격성 및 통제 상태임을 입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여기에는 적격성 평가(Qualification), 교정(Calibration), 유효성 검사(Validation) 및 유지 보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목적에 대한 적합성"을 보장하기 위해 위험 평가를 기반으로 한 통합 접근 방식이 권장됩니다. 이 장에서 "기기"라는 용어는 약전 분석에 사용되는 모든 장치(Apparatus), 장비(Equipment), 기기(Instrument) .. 2021. 10. 8.
[시험규격] 먹는물 시험 공정기준 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과 관계된 법령 및 내용은 아래와 같다.​먹는물관리법 제3조(정의) “먹는물”이란 먹는 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연 상태의 물, 자연 상태의 물을 먹기에 적합하도록 처리한 수돗물, 먹는샘물, 먹는염지하수(鹽地下水), 먹는해양심층수(海洋深層水)등을 말한다.​먹는물관리법 제 6조(먹는물 수질에 대한 공정시험 방법) 환경부장관은 먹는물 검사를 정확하고 통일성 있게 하기 위하여 먹는물 수질공정시험(水質公定試驗) 방법을 정하여 고시하여야 한다.먹는물수질공정시험기준은 (2021년 2월 8일 개정 기준) 총칙, 일반시험기준, 일반항목, 이온류, 금속류, 유기물질, 휘발성유기화합물, 미생물, 방사능으로 9분야로 나뉘어 있으며 총 145종으로 구성되어있다.  목차는 위와 같으며 상세한 시험방법을 확.. 2021. 6. 18.
[유럽약전]Ph.Eur 2.5.9 DETERMINATION OF NITROGEN BY SULFURIC ACID DIGESTION [질소정량 - 번역] SEMI-MICRO METHOD(세미-마이크로 방법)연소플라스크(킬달플라스크)에 질소로서 2 mg 해당량의 검체를 넣고, 황산칼륨R : 황산구리5수화물R : 셀레늄R = 100 : 5 : 2.5 혼합 분말 4 g 및 글라스비드(Glass beads) 3 개를 넣는다.황산R 5 mL로 연소플라스크의 목 부분에 붙어있는 검체를 씻어내린 후 내용물을 흔들어 혼합한다. 황산의 과도한 손실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유리 뚜껑 등을 사용하여 플라스크의 입구를 느슨하게 닫는다.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서서히 가열한 뒤 플라스크 목에 황산이 응축되어 격렬하게 끓을 때까지 온도를 높인다. 플라스크의 상부가 과열되지는 않도록 주의한다. 따로 규정되지 않는 한 30분 동안 계속 가열한다. 냉각한 뒤 산화된 검체에 물R.. 2021. 6. 17.
[미국약전]USP <461> Nitrogen determination [질소정량 - 번역] 일부 알칼로이드 및 기타 질소 함유 유기 화합물은 황산으로 소화 시 모든 질소를 생성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모든 유기 화합물의 질소 측정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방법 I질산염 및 질산염이 없을 시딱딱한 붕규산 유리로 된 500 mL 킬달 플라스크에 정확하게 무게를 재어 약 1g의 검체를 넣습니다. 시험할 검체가 고체 또는 반고체인 경우 플라스크로 옮기는 편의를 위해 질소가 없는 여과지에 포장할 수 있습니다. 분말로 된 황산칼륨 또는 무수 황산나트륨 10g, 분말로 된 황산구리 500mg 및 황산 20 mL를 가합니다. 약 45 ° 각도로 플라스크를 기울이고 혼합물을 부드럽게 가열하여 거품이 멈출 때까지 온도를 끓는점 이하로 유지합니다. 산이 빠르게 끓을 때까지 열을 높이고 용액이 투명한 녹색.. 2021. 6. 13.
[시험규격]ASTM 시험방법과 구매방법(인터넷주소)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은 광범위한 재료, 제품,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자발적인 합의 기술 표준을 개발하고 게시하는 국제 표준기구입니다. ASTM의 역사Charles Dudley가 이끄는 과학자 및 엔지니어 그룹은 빠르게 성장하는 철도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빈번한 철도 파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98 년에 ASTM을 구성했습니다. 이 그룹은 레일 제작에 사용되는 강철에 대한 표준을 개발했습니다. 원래는 1902 년에 "미국 시험 재료 학회"라고 불렸지만 1961 년에 "미국 재료 시험 학회"가 되었고 2001 년에 ASTM은 공식적으로 이름을 "ASTM International"로 변경하고 "Standards Worldwide"라는 태.. 2021. 5. 28.
일본산업규격(JIS) 열람 및 구매 방법(인터넷주소) 일본산업규격(JIS :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은 일본산업표준화법에 따라 제정된 일본국가규격으로 제,개정 심의는 일본산업표준위원회(www.jisc.go.jp)에서 수행하고 있다. 일본산업규격은 규격번호로 식별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다.A - 토목 및 건축 부문B - 일반 기계 부문C - 전자기기 및 전기기계 부문D - 자동차 부문E - 철도 부문F - 선박 부문G - 철강 부문H - 비철금속 부문K - 화학 부문L - 섬유 부문M - 광산 부문P - 펄프 및 종이 부분Q - 관리 시스템 부문R - 요업 부문S - 일용품 부문T - 의료 안전용구 부문W - 항공 부문X - 정보 처리 부문Z - 기타 부문 필자는 화학물질 시험관련 업무를 맡고 있어 유기용매에 대한 시험규격에 필.. 2021. 5. 27.
[미국약전]USP 무료 검색 인터넷 주소(but USP 29) 미국약전(USP)은 대한민국약전(KP)와는 다르게 본문내용을 확인하려면 유료로 구매하여야 한다.상세내용은 이전에 약전 별로 작성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https://method-of-analysis.tistory.com/13 [시험규격] 대한민국약전과 세계 3대 약전(USP, Ph.Eur, JP)대한민국약전(KP : Korean Pharmacopeia) 우리나라 식품의약품 안전처(MFDS)에서 고시하며 최신 버전은 제12 개정이고 5년마다 정기 개정한다. 2013년 3월 전까지(9 개정)까지는 대한약전으로 불리다가 10method-of-analysis.tistory.com다만,  본인도 구글검색을 하다가 USP 본문내용을 무료로 검색가능한 곳을 발견했는데 바로 아래주소이다. http://ftp.us.. 2021. 5. 18.
[시험규격]한국산업표준(KS) 열람 및 구매 방법(인터넷주소) 한국산업표준(KS : Korean Industrial Standards)은 산업표준화법에 의거하여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기술표준원장이 고시함으로써 확정되는 국가표준으로서 약칭하여 KS로 표시한다.한국산업표준은 기본부문(A)부터 정보부문(X)까지 21개 부문으로 구성되며 크게 다음 세 가지 국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제품표준 : 제품의 향상ㆍ치수ㆍ품질 등을 규정한 것 2. 방법표준 : 시험ㆍ분석ㆍ검사 및 측정방법, 작업표준 등을 규정한 것 3. 전달표준 : 용어ㆍ기술ㆍ단위ㆍ수열 등을 규정한 것 한국산업표준(KS)의 제정·개정은 1. 제정·개정 제안 -> 2. 관계부처와 협의 -> 3. 제정·개정 및 폐지 예고 -> 4.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 -> 5. 제정·개정 확인 또는 폐지 고시로 진행.. 2021.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