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1

비누가 세기의 발명품이라고? 세기의 발명품 ‘비누’를 알아보자 비누의 어원 현대 국어 ‘비누’의 어원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오는 ‘비노’에서 시작됩니다. 이 단어의 ‘노’가 ‘누’로 바뀌어 현재의 ‘비누’가 되었는데 ‘비노가 적힌 가장 오래된 형태의 문헌은 순천 김 씨 묘 출토 간찰(16세기)입니다. ‘비노’의 단위를 되로 센 것으로 보아 팥이나 녹두로 만든 가루비누인 조두(澡豆)를 부르는 말로 쓰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누의 원리 비누는 때를 씻어 낼 때 쓰는데 물에 녹아 거품이 생기며 보통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주성분으로 합니다. 비누의 분자는 계면활성제로 한 분자 내에 친수성 부분과 친유성 또는 소수성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이때, 친수성 부분은 분자의 외곽, 즉 바깥쪽에 위치해 있고, 친유성 .. 2024. 10. 22.
콜로이드 분류와 특성 콜로이드 분류와 특성 콜로이드란? 콜로이드(colloid)는 매우 작은 입자(1 nm ~ 1 µm)의 용질이 다른 용매 속에 고르게 분산되어 떠다니는 혼합물을 말합니다. 콜로이드 입자는 너무 작아서 육안으로 보이지 않지만,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용액과 달리 콜로이드는 입자가 크기 때문에 침전되지 않고 오랜 시간 동안 분산 상태를 유지합니다. 입자가 충분히 작아 콜로이드의 어느 부분을 취해도 같은 물리적 성질을 나타내며 입자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콜로이드의 대표적인 예시로 우유를 들 수 있습니다. 콜로이드는 크게 두 가지 물질로 구성됩니다. 분산매 :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물질. (예: 물) 분산질 : 분산되어 있는 작은 입자. (예: 고체.. 2024. 10. 20.
지방산(Fatty acid)의 모든 것 지방산(Fatty acid)의 모든 것 지방산의 정의지방산(fatty acid)은 중성지방이나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을 구성하는 분자로서 탄소 원자가 사슬 모양으로 연결된 카르복시산(R-COOH)을 통틀어 말한다. 지방을 가수분해하면서 생기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대부분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지방산은 4~28개까지의 짝수의 탄소 분자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지방산은 아세트산(CH3-COOH)이다. 지방산의 분류 지방산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이다. 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탄소를 기준으로 수소로 포화되어 모두 단일결합으로 이루어져있는 지방산을 포화 지방산이라 한다. 보통 유동성이 떨어지며 상온에서 고체의 형태를 나타낸다. 불포화.. 2024. 10. 17.
증류 2가지 비교(정제 증류, 분별 증류) 증류 2가지 비교(정제 증류, 분별 증류) 정제 증류와 분별 증류는 혼합물에서 다양한 물질을 분리하는 데 유용한 산업 공정으로 정유, 화학산업에서 활용됩니다. 정유시설을 예로 정제 증류, 분별 증류의 개념을 알아보고 비교해 보겠습니다. 정제 증류(Refining distillation) 정제 증류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도를 높이는 증류법으로 원유를 제품으로 전환합니다. 일반적으로 석유 정유소에서 원유를 LPG(액화석유가스), 가솔린 또는 휘발유, 디젤, 등유와 같은 제품으로 전환하는 데 정제 증류를 사용합니다. 석유 정유소는 단위와 저장 탱크를 포함하여 여러 처리 단계 및 보조 시설을 포함하는 대규모 산업 시설입니다. 정유소 각각은 고유의 처리시설과 다양한 정유 공정의 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유 증류.. 2024. 10. 16.
칼피셔법과 수분 측정 3가지 방법 칼피셔법과 수분 측정 3가지 방법칼피셔법과 실험실에서 수분 측정 시 사용하는 3가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칼 피셔법(Karl-Fischer method) 칼 피셔법(Karl Fischer Titration)은 시료 내의 수분(물) 함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화학적 분석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매우 정밀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특히 제약, 화학, 식품, 석유 등의 산업에서 수분 측정에 많이 사용됩니다. KF 또는 칼피셔 적정법은 샘플에서 미량의 물을 결정하기 위한 고전적인 적정 기술 중 하나로 1935년 독일 화학자 칼 피셔에 의해 처음 발명되었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요오드시약을 독일 화학자 이름을 따서 칼 피셔(Karl-Fischer) 시약이라 합니다. 보통 이 방법은 자동화된 칼 피셔 적정기를 .. 2024. 10. 10.
대한민국약전 차례 살펴보기 대한민국약전 차례 살펴보기 제약회사 실험실에서는 대한민국약전을 자주 보실 텐데요. 대한민국약전의 차례를 살펴보며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대한민국약전은 크게 총 4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권은 통칙, 제제총칙, 일반시험법, 일반정보 2권은 의약품 각조 1부 (ㄱ~ㅅ) 3권은 의약품 각조 1부 (ㅇ~ㅎ) 4권은 의약품 각조 2부 통칙에서는 약전에 기재되어 있는 전반적인 규칙, 정의, 적부(적합 혹은 부적합)의 판정법, 시험에 쓰이는 용어에 대한 해석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제제총칙에서는 약들의 각각 제형(ex. 정제, 주사제 등)의 정의와 제법 및 기준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의약품 각조 1부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의약품 또는 원료의약품과 같은 기초 제제들의 간단한 정의와 성상, 기준 및 시.. 2024. 10. 8.
미국약전, 유럽약전의 장단점 미국약전, 유럽약전의 장단점 최근 미국약전과 유럽약전을 재구매하면서 개인적으로 느낀 각 약전의 장단점을 적어봅니다. 미국약전(USP)장점 1. 최근 가격을 인상했지만 (1300달러 -> 1500달러, 20 명 접속 기준) 유럽약전에 비해 금액이 합리적이다. 2. 온라인 접속 시 변경 전후 버전을 비교하여 보기에 편하다. 단점 1. 온라인 서버 접속불가시 확인방법이 없다.(실제로 한국시간으로 근무 중인 오전시간에 점검 중인 경우가 많음) 2. 예전 버전을 볼 수는 있지만 특정 시점이전은 확인 불가하다. 3. 인쇄할 때 시간, 인쇄자 등의 정보가 모두 다 인쇄되어서 data integrity 개념으로 접근하면 불편할 때가 있다. (굳이 약전 인쇄할 때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다) 유럽약전(Ph.Eur) 장점.. 2024. 10. 2.
유럽약전 수정 알림 유럽약전 수정 알림 유럽약전 수정 관련하여 메일을 받았습니다.Monograph 중 Zinc acetate dihydrate(아세트산아연 이수화물, 1482)에서 아세트산염의 확인시험(b) 내용이 수정될 예정이라는 내용입니다. 내용 전문을 번역해 봤습니다. Zinc acetate dihydrate의 아세트산염 확인시험(b)에 대한 개정 내용입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일반 장 2.3.1의 반응(b)을 이 물질에 원활하게 적용하려면 pH를 약알칼리 조건(pH 9-11)으로 조정하고 여과하는 두 가지 중요한 단계가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위의 이유로 유럽 약전 위원회는 방금 아세트산 아연 이수화물(1482)의 아세트산염 식별을 위한 개정된 시험을 채택했습니다. 개정된 모노그래프는 Supplement 1.. 2024. 10. 2.
뷰렛, 피펫 알아보기(Burette, Pipette) 뷰렛, 피펫 알아보기(Burette, Pipette) 뷰렛(Burrette) 뷰렛(burette)은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시험기구 중 하나로 액체의 부피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주입할 때 쓰는 가느다란 유리관 모양 기구입니다. 피스톤 뷰렛이나 디지털 뷰렛처럼 다른 모양도 존재하지만 보통은 아래 사진과 같은 형태를 띠며 아래쪽에 stopcock이 있어 손으로 돌리며 용액의 주입을 조절합니다. 뷰렛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10 mL~100 mL이며 용량크기에 따라 눈금간격도 차이가 있습니다. 실험실에서 사용할 때는 보통 아래 사진과 같이 스탠드, 클램프와 함께 쓰게되는데 클램프는 손잡이(갈고리)모양 형태로 뷰렛을 직접 잡아주고, 스탠드는 바닥에 서서 클램프와 뷰렛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탱합니다. 뷰렛의 정확한 용도는 .. 2024. 1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