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열잔분2 강열잔분 시험법을 알아보자(Residue on ignition) 강열잔분 시험법을 알아보자 강열잔분 시험법의 정의와 활용하는 산업, 그리고 간단한 계산식과 관련 기기까지 알아봅시다. 강열잔분 시험법에 대하여 대한민국약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강열잔분 시험 정의 강열잔분(Residue On Ignition = ROI) 시험은 검체에 뜨거운 열을 가할 때 휘발하지 않고 남은 물질의 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검체에 가하는 열 온도가 400도 이상이므로 회화로와 같은 강열장치가 필요합니다. 전에 얘기했었던 강열감량 시험법과 비교하자면 1. 강열감량은 검체의 줄어든 무게(기존무게 - 남은 무게)를 량을 측정하지만 2. 강열잔분은 남은 무게량을 측정합니다. 강열감량 시험법을 알아보자강열감량 시험법 약전에 있는 강열감량 시험법은 아래와 같은데요. 강열감량 시험법.. 2024. 11. 9. [대한민국약전]강열잔분 시험법 대한민국약전 내 일반시험법에 수재되어있는 강열잔분 시험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설 명 강열잔분시험법은 검체를 다음 조작법에 따라 강열할 때 휘발하지 않고 남는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이 방법은 보통 유기물 중에 불순물로 들어 있는 무기물의 함량을 알기 위하여 쓰나, 때에 따라서는 유기물 중에 구성성분으로 들어있는 무기물 또는 강열할 때 휘발하는 무기물 중에 들어있는 불순물의 양을 측정하는 데 쓴다. 의약품각조에, 예를 들면 0.1 % 이하 (1 g)라고 규정하는 것은 이 약 약 1 g을 정밀하게 달아 다음 조작법에 따라 강열하였을 때 그 잔분이 이 약 1 g에 대하여 1 mg 이하임을 나타낸다. 또 「건조한 다음」이라고 규정하는 때에는 건조감량 항의 조건으로 건조한 다음 검체를 채취한다.▶.. 2021. 1. 5. 이전 1 다음 반응형